2012년 7월 31일 화요일

LGU+ 2분기 영업익 31억원…94.8%↓(종합)




"마케팅비·LTE 투자비 증가 영향"

(서울=연합뉴스) 최인영 기자 = LG유플러스(U+)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31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9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2조7천99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1.5%, 직전 분기 대비 9.7% 성장했다. 당기순이익은 32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 적자로 돌아섰다.

영업이익이 대폭 감소한 것은 이동전화 가입자를 늘리기 위해 마케팅 비용을 대거 지출했기 때문이다. 2분기 마케팅 비용은 4천866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3.5%, 직전 분기 대비 38.8% 늘었다.

롱텀에볼루션(LTE) 망 투자비 지출도 영업이익에 타격을 줬다. 멀티캐리어 상용망 구축 LTE 망 고도화 작업으로 시설투자(CAPEX)가 작년 동기 대비 62.6% 증가했다.

영업성과를 보면 무선사업은 LTE 가입자 증가로 수익이 커져 작년 동기 대비 16.6%, 지난 1분기 대비 10.5% 성장한 9천875억원을 기록했다.

LTE 가입자는 기존 2G 가입자보다 많은 요금을 내기 때문에 가입자당평균매출(ARPU)도 올랐다. 이 회사의 2분기 무선 ARPU는 3만3천871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9.6% 증가했다.

유선·기업사업은 작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7천597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IPTV 가입자 증가를 바탕으로 TPS(초고속인터넷·인터넷전화·IPTV 결합상품) 가입자가 증가한 것도 유선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이 회사의 TPS 가입자는 작년 동기보다 7.7% 늘었고, 수익은 1.7% 증가했다.

LG유플러스 경영관리실 성기섭 전무는 "LG유플러스는 LTE 전국망 등 경쟁력을 바탕으로 순증 가입자 시장을 석권했다"며 "앞으로 마케팅 비용을 축소해나가면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클라우드게임 전용 오픈마켓 'C-게임즈' 등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와 콘텐츠에 역량을 집중하고, 음성과 데이터를 결합한 서비스, 차량 관제 등 사물통신(M2M) 사업을 강화해 매출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또 하반기 상용화할 VoLTE(Voice over LTE)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800㎒ 주파수 외에 2.1㎓ 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2.1㎓ 대역을 활용한 멀티캐리어 서비스를 연말까지 6대 광역시, 내년 84개 시로 확대할 계획이다.

abbie@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대입 인성평가 강화 실제 입시에선 '유명무실'>

☞장근석 中 웨이보 팔로어 500만 돌파

☞유혈의 시리아, 사람도 경제도 '파탄'

☞<올림픽>박태환 "올림픽 메달만으로도 만족"(종합)

☞日 정부, 센카쿠 매입가 300억원 제시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포토 매거진>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