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뉴시스】김민기 기자 = "현재 보조금 지원은 거의 없어요. 지난달 갤럭시S3 17만원 사태는 핸드폰 장사 8년 만에 처음입니다. 또 다시 그런 기회가 찾아오긴 힘들꺼예요"
4일 강남역 지하의 한 휴대폰 대리점의 판매 직원이 보조금이 얼마냐는 질문에 손사래를 치며 이같이 대답했다. 사실상 보조금을 기대하기란 어렵다는 것이다.
추석 전에 나온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2, LG전자의 옵티머스G, 팬택의 베가R3 모두 이통사의 보조금이 전무하다시피 해 출고가 그대로 할부원금을 내야한다.
올해 상반기에 이통사에서 최소 20~30만원에서 최대 50~60만원씩 지원하던 보조금을 기대한 소비자들은 당혹스러울 수 밖에 없다. 17만원 갤럭시S3가 나와도 하반기 신제품과 비교해 더 좋은 제품을 구입하기 위해 구매를 미뤘던 소비자들은 애타는 마음을 숨길 수가 없다.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2의 경우 출고가가 64기가바이트(GB) 115만원, 32GB 109만원이다. 6만원대 요금제로 2년 약정에 30개월 할부를 하면 기기값만 월 3만원대 후반 수준. 기본 요금까지 포함하면 적어도 10만원은 내야한다. LTE 데이터 요금과 부가세 등의 추가 요금이 붙으면 가격은 더 비싸진다.
기기값이 비싸다보니 할부도 24개월에서 30개월이나 36개월로 늘릴 수 밖에 없다. 요금제도 62요금 이상 써야 그나마 더 할인된다. 몇달 전만해도 한달에 5000원에서 1만원이면 신제품을 구입할 수 있었는데 거의 3배 가량 가격이 올랐다.
인터넷 최저가 사이트를 찾아봐도 갤럭시노트2 32GB의 할부원금 최저가는 89만원대. 하지만 기존에 면제되던 가입비와 유심칩 비용도 이제는 면제가 되지 않는다.
옵티머스G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출고가 99만9900원에서 보조금이 많아야 5만원 수준. 할부원금이 90만원 초반대라 30개월 할부로 하면 한 달에 3만원 정도 기기 값을 내야 한다.
요금제와 이통사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올해 2분기에 비하면 소비자들이 느끼는 스마트폰의 체감 가격은 높은 편이다.
특히 출고가 80~90만원대의 갤럭시S3가 할부원금이 17만원까지 내려간 상황이 불과 3주 전인 것을 감안했을 때 소비자들은 신제품 구매에 더욱 주저할 수밖에 없다.
◇ 당분간 이통사 보조금 지원은 어려울 듯
이통사들은 이러한 보조금 지원 정책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하반기에 LTE 가입자 유치를 위해 무리하게 보조금을 쓰기 보다는 정상적인 시장 운영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전략이다.
SKT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정상적인 시장 운영을 하고 싶지만 경쟁사에서 과도하게 보조금을 풀어 가입자들을 끌어 모으기에 어쩔 수 없이 따라갈 수 밖에 없었다"며 "하반기에는 보조금 경쟁보다는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승부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통사들은 방통위가 27만원의 보조금 기준을 넘긴 것이 3차례 이상 적발되면 최대 3개월간 신규 가입자 모집을 금지하는 등의 제재조치를 내리겠다고 엄포한 상황이라 더욱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다.
KT관계자는 "보조금 과열도 방통위에서 현장 조사를 실시하는 만큼 보조금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기 쉽지 않다"면서 "방통위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정상적인 보조금 지원을 하겠다"고 전했다.
증권가에서도 4분기 이통사의 보조금 열기는 한층 가라앉을 것으로 전망했다. 방통위가 영업정지를 시키겠다는 강수를 둔 데다가 새로운 스마트폰이 다양하게 출시 돼 선택의 폭이 넓어지면서 보조금이 줄어들 것으로 봤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위원은 "올해 3분기에도 2분기 못지 않게 보조금을 많이 지출했기에 4분기에는 보조금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이통사들도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보조금으로 지출되는 마케팅 비용을 줄일 수 밖에 없다"고 전했다.
하지만 김 연구위원은 당장은 보조금을 줄이겠지만 수익률이 높은 LTE 가입자를 늘리기 위해서는 이통사들이 결국은 보조금을 풀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올해 안에는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 소비자를 위해 보조금 경쟁이 아닌 요금 경쟁 벌여야
이러한 보조금 전쟁의 원인은 통신사의 실적에 가입자 수가 반영되기 때문이다. 연초 이통사 별로 LTE 가입자 목표를 정하는데 이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한 한 이통사가 실적을 높이기 위해 무리하게 보조금을 풀어 가입자 유치에 나선 것.
이에 다른 이통사들도 가입자를 빼앗기지 않기 위해 덩달아 보조금 전쟁에 뛰어들었다. 여기에 제조사들도 제품 보조금을 지원하면서 스마트폰 1대에 70~80만원 수준의 보조금이 투입됐다.
하지만 결국 이러한 보조금 전쟁의 피해는 고스란히 피해자들에게 돌아온다. 통신사들의 보조금은 기본요금과 데이터 요금 인상, 약정 계약 해지 위약금 등으로 채워지고 있다.
김인성 한양대 교수 겸 IT칼럼니스트는 "이통사들이 차별성이나 기술적 우위로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금으로 소비자들을 끌어모으고 있다"며 "이렇게 모은 소비자들에게 과도한 요금을 부여해 매년 수조원의 배당금과 수천억원의 광고비용을 마련한다"고 말했다.
이어 "방송통신위원회에서 과도한 보조금 지급을 한 이통사를 적발해 요금에 반영하게 만들어야 한다"며 "소비자들을 위해 이통사간 공정한 경쟁을 유발시켜 요금을 낮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kmk@newsis.com
[뉴시스 이시간 핫 뉴스]
- ㆍ 싸이 ´강남스타일´ 저작권수입 3600만원…0 빠졌나
- ㆍ 중견기업 대표-스튜어디스 등 3명 간통혐의 입건
- ㆍ "왜 결혼 반대해" 어머니 흉기살해 20대女 영장
- ㆍ 비닐봉지속 몰카?…여성 8000명 치마속 촬영 30대 입건
- ㆍ 나이들수록 살찌는 이유 알고보니…
★ 손 안에서 보는 세상, 모바일 뉴시스
★ “우리 결혼합니다” 뉴시스 웨딩알리미 ‘두리’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