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공항에서 외국인을 상대로 한 콜밴의 바가지 요금, 하루 이틀 이야기가 아닙니다.
나라 망신이 어느 정도인지 문화관광부 장관이 외국인을 가장해서 한 번 타봤습니다.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요?
조기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짐 많은 승객을 위한 콜밴이 줄지어 서 있습니다.
주로 명동이나 강남에서 쇼핑을 마친 일본인 관광객이 탑니다.
이들에게 한국의 콜밴을 타보니 어떠냐고 물었습니다.
한마디로 공포의 대상입니다.
[마미/일본인 관광객 : 콜밴은 일본 사람에게 바가지 요금을 씌워서 무섭다고 타지 말라는 소리를 들었어요.]
지난달 29일 최광식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직접 실태 조사에 나섰습니다.
공익요원 두 명을 통역으로 대동하고 일본인으로 가장했습니다.
서울 명동에서 동부이촌동까지 7.7km 가는데 10만 원을 내야 했습니다.
터무니 없는 바가지 요금입니다.
혀를 내두른 장관은 기사를 처벌해달라며 함께 탔던 공익요원 명의로 경찰에 고소장을 냈습니다.
[김상욱/문화체육관광부 관광정책과장 : 장관님 본인이 타보시니까 정말 이렇구나 하신 거죠.]
내국인이 콜밴을 타면 얼마를 받을까.
장관이 갔던 길을 그대로 가봤습니다.
2만 5000원이면 충분했습니다.
[콜밴 기사 : 동부이촌동까지 2만 원에서 2만 5000원 정도 하지. (10만 원이면 지방 어디까지 갈 수 있죠?) 10만 원이면 천안(까지 갑니다).]
최근 2년 동안 외국인이 신고한 콜밴의 바가지 요금 사례는 62건.
25만 대의 택시에 대해 156건이 접수된 것과 비교하면 1만 대밖에 안 되는 콜밴의 횡포가 얼마나 심한지 알 수 있습니다.
외국인만 탔다 하면 한몫 챙기려는 일부 콜밴 기사의 횡포.
관광 선진국을 향해 제거해야 할 첫 걸림돌입니다.
(영상편집 : 채철호)
<앵커>
조기호 기자 나와 있습니다.
조 기자, 결국 장관이라도 바가지를 안 쓸 방법은 없다는 거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일본인으로 가장한 장관에게 콜밴 기사가 요구한 금액은 당초 11만 5000원이었다고 하는데, 차마 싸울 수가 없어서 그나마 10만 원으로 깎았다고 합니다.
<앵커>
우리나라가 꼭 후진국이 된 것 같은 창피한 얘기인데 왜 못 막습니까?
<기자>
오죽하면 장관이 직접 콜밴을 타봤겠습니까.
그런데 문체부 장관은 하도 민원이 쏟아지니까 실태 파악을 한 거지, 콜밴의 횡포를 막을 아무 권한은 없습니다.
오히려 관리 감독 기관은 국토해양부고 단속 주체는 각 지자체와 경찰입니다.
영업 허가만 해놓고 관리 감독을 제대로 안 하다보니 콜밴의 막가파식 행태가 끊이지 않는 겁니다.
철저한 단속을 통해서 계속 민원을 초래하는 콜밴은 면허를 취소하는 등 행정적 처벌을 강화해야 할 것 같습니다.
조기호 기자cjkh@sbs.co.kr
관/련/정/보
◆ 북한군 1명, 동료 2명 사살한 뒤 귀순
◆ "고참이 자꾸…" 휴가 나온 군인 투신 사망
◆ 극에 달한 불산 공포…주민 300여 명 이주
◆ 中 팍스콘 공장 파업…'아이폰5' 생산 마비
◆ '사거리 300km→800km' 미사일협정 타결
☞ [SBS기자들의 생생한 취재현장 뒷이야기 '취재파일']
☞ SBS뉴스 공식 SNS [SBS8News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저작권자 SBS&SBS;콘텐츠허브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