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원자력안전기술원 안전성 심사과정서 드러나
냉각설비 1대밖에 없고 수소감시기도 설치안돼
오는 11월20일 설계수명 만료를 앞둔 월성 1호기의 수명 연장과 관련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기술원)이 진행하는 심사 과정에서 안전성에 중대한 결함이 있을뿐더러 이를 보완하기 어렵다는 쪽으로 내부 의견이 모아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실상 월성 1호기 수명 연장이 어려워진 것으로 보인다.
<한겨레>가 7일 민주통합당 박홍근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기술원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4차 심사 질의서와 답변서를 보면, 심사 과정에서 월성 1호기의 안전성에 중대한 결함이 있고 수명 연장을 위한 한수원의 보완조처도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원이 4차례에 걸쳐 한수원에 질의한 심사 내용 880건 가운데 한수원이 아예 응답하지 못한 항목이 20건, 기준에 못 미치는 대책을 내놓아 4차례 중복 재질의된 내용도 37건에 이르렀다.
특히 문제되는 내용은 두가지로 압축된다. 먼저 ‘비상시 냉각계통 열교환기 다중화’다. 이 시설은 원전 사고가 발생할 경우 원자로 내부의 열을 제거하는 핵심 장치인데, 월성 1호기에는 1대만 설치돼 있다. 1991년 이후로 복수의 열교환기가 설치되도록 규정돼 있는데(캐나다 R-9 문건), 1983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월성 1호기는 기준 적용 이전에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한수원은 “발전소 설계의 근간을 흔드는 변경이 필요해 추가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답변만 되풀이하고 있다.
‘수소감시기’ 설치 문제 역시 중요한 쟁점이다. 월성 1호기에는 현재 원자로 안에 수소감시기가 설치돼 있지 않으며, 건설 시기 탓에 빨라도 내년 9월에야 설치가 가능한 상황이다. 기술원은 지난해 9월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속조처’로 신월성 1호기 ‘가동 전에’ 수소감시기를 설치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월성 1호기에 대해서만 미리 수명 연장을 해주고 ‘추후 보완’을 지시할 경우 형평성 논란을 피하기 어려운 처지인 것이다.
기술원의 한 관계자는 “현재 심사 연구원들이 격렬한 토론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라며 “어쨌건 국책연구기관으로서 원자력 안전이라는 관점에서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원전의 수명 연장은 기술원의 심사를 거친 뒤 원자력안전위원회 심의를 통해 결정된다. 박홍근 의원은 “만료 시한인 11월20일까지 심사를 마쳐야 한다는 생각에 구애받지 말고, 국민의 입장에서 원칙대로 심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월성 1호기는 2009년 4월부터 2년 넘게 대대적인 설비개선 작업을 벌였지만, 지난 9월 또다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대선 ‘빨간불’, 안철수와 10%p 넘게 뒤져
■ 이은미 “왜곡된 역사 돌려놓는 자리에 함께 해 감사하죠”
■ 미 쇼트트랙 선수 “전재수 감독 지시로 상대팀 스케이트 훼손”
■ 싸이 공연 뒤 서울시 ‘완전히 새됐어’
■ 강금실 “박정희 넘어, 수평적 네트워크 세대 껴안을 리더십 필요”
■ “김근태 고문당할 때,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 [화보]수험번호 1219, 문재인을 면접하라
공식 SNS [통하니] [트위터] [미투데이] | 구독신청 [한겨레신문] [한겨레21]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