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주택시장 침체 장기화로 매도자와 매수자 간 눈치싸움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신혼부부와 임대사업자 등이 선호하는 소형 아파트는 매도자의 본전심리 및 매수자 저가매수 심리가 팽팽히 맞서면서 집을 파는 것뿐 아니라 사기도 어려워지고 있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들의 설명이다. 소형은 상대적으로 가격하락폭이 작아 매도인들이 손절매보다는 본전심리가 더 강하다는 분석이다. 더 떨어질까 우려돼 급매물로 내놨다가도 막상 매수인이 나타나면 매물을 걷어가든지 전세로 돌리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 가격에 팔릴까" 간 보는 매도인?
현지 중개업소들은 요즘 같은 시기에 매도인이 변덕을 부리는 이유에 대해 이른바 간을 보는 것이라고 말한다.
강서구 등촌동 D공인 관계자는 "집주인이 지금 팔아야 할지, 아니면 계속 전월세를 놓을지 판단이 서지 않으면 일단 급매물로 내놓는 경우가 종종 있다"면서 "쉽게 말하면 이 가격에 팔릴까 간을 보는 것"이라고 귀띔했다. 그는 "이런 경우는 대부분 소형"이라며 "임대수익은 짭짤한데 자본차익에서 마이너스가 나니까 아니면 말고 식으로 내놓은 것으로, 중개업자 입장에서도 당황스럽다"고 덧붙였다.
은평구 신사동 D공인 관계자는 "거래 한 건 성사시키기가 힘들다는 것은 바짝 마른 수요심리만 두고 하는 말이 아니다"라고 전했다. 그는 "소형아파트 집주인들은 대부분 실수요자들로 무리하게 대출을 끼지 않았고 집값도 상대적으로 덜 빠져 본전심리가 강하다"며 "그나마 집을 사려는 사람들은 중소형으로 몰리고 있어 매도인은 한푼도 깎을 수 없다고 하고 매수인은 수리비라도 빼달라면서 거래가 틀어지는 경우가 심심찮게 있다"고 설명했다.
■눈치싸움 더 치열해질 듯
전문가들은 시장의 방향이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개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면 당분간 이 같은 눈치싸움이 점차 치열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만큼 주택거래도 줄어들 것으로 우려된다.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은 2093건으로 5개월 연속 감소세다. 이달은 지난 21일 현재 1230건으로, 매우 저조한 거래량을 보이고 있는 데다 시행일이 불확실한 취득세, 양도세 감면방안 때문에 거래가 더 얼어붙어 이달에는 2000건마저도 위협받고 있다.
부동산써브 함영진 실장은 "소형주택은 그동안 덜 하락했고 전세가율이 높아 '전세'가 안전판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자부담에 시달리지 않고서는 버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저가매수하려는 매수인과 팽팽한 신경전은 짧아도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함 실장은 "주택거래 감소는 불가피해 보인다"며 "여기에는 신뢰성이 낮아진 정부대책도 한몫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winwin@fnnews.com 오승범 기자
■ 오늘의 핫뉴스
▶ 아이폰5 vs 갤럭시 넥서스 속도 대결 “승자는?”
▶ 美 대학 총기소지 합법화 “조승희 사건 때문?”
▶ “아이폰5, 블랙보다 화이트 사라”..왜?
▶ 국내 최대 룸살롱 ‘YTT’의 불법영업 백태
▶ 李대통령에 ‘돌직구’..여고생의 패기 논란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