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임은진 이유진 기자 = 유동성 위기에 처한 웅진그룹 계열 극동건설과 ㈜웅진홀딩스가 26일 잇따라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극동건설은 지난 25일 만기 도래한 어음 150억원을 결제하지 못해 1차 부도를 낸 상황에서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과 만기 연장 협상을 벌였으나 실패했다.
최대 주주로서 1조839억원 상당의 연대보증 부담을 진 ㈜웅진홀딩스(지분율 89.5%)도 연쇄 도산을 염려해 곧바로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시공순위 38위 극동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함에 따라 100대 건설사 중 법정관리 또는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에 돌입한 업체는 총 21개로 늘었다.
이 업체는 작년 한해 6천16억3천700만원의 매출을 올렸지만 영업이익(-2천162억2천400만원)과 당기순이익(1천919억4천400만원)에서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올해 2분기 당기순이익은 25억8천800만원으로 흑자 전환했으나 영업이익(-67억6천800만원)은 여전히 마이너스를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 6월 공시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잔액은 5천825억1천400만원에 달한다.
한편 웅진홀딩스는 올해 들어서만 4차례에 걸쳐 이 업체에 단기차입금 2천13억원을 제공했다.
웅진홀딩스가 지급 보증을 선 PF 차입금에서 연내 만기가 돌아오는 금액은 28일 만기인 350억원을 시작으로 1천700억원에 달한다.
웅진홀딩스의 한 관계자는 "극동건설 부도로 인한 연쇄 도산을 막고 채권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법정관리를 결정했다"면서 "우량 자산을 매각하고 철저한 비용 절감을 통해 회생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1947년 대영건설사로 출발한 극동건설은 1953년 극동건설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고 경부고속도로, 방화대교, 대구 월드컵경기장 등 굵직한 토목 공사에 참여해 실적을 쌓았다.
2007년 8월 웅진그룹에 편입된 이후 '웅진 스타클래스'라는 브랜드로 아파트를 공급했으나 그룹의 지속적인 지원에도 불구하고 유동성 위기에 시달렸다.
engine@yna.co.kr
eugenie@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김현숙 "`전면 무상보육 폐기' 국회서 해결 가능"
☞MBC '골든타임' 시청률 14.5%로 종영
☞대우건설, 싱가포르 고급 콘도 공사 수주
☞<프로야구 관중 700만> ②'흑자 시대' 가능할까
☞안철수 봉하마을 방문..노무현 묘역 첫 참배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포토 매거진>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