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희망홀씨대출로 바뀐 후 저신용·저소득층 지원 비중 절반으로 줄어
희망홀씨대출이 새희망홀씨대출로 바뀐 후 저신용ㆍ저소득층 대출 비중이 절반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제신문이 최근 지적한 '죽어가는 서민대출시장'이라는 해석이 다시 한번 입증된 셈이다. ★본지 9월18일자 1ㆍ10면 참조
박대동 새누리당 의원은 23일 새희망홀씨대출이 출시된 지난 2010년 11월부터 올 6월까지 20개월간 저신용ㆍ저소득층에게 지원된 금액은 2조5,165억원으로 17%에 그쳤다고 밝혔다.
새희망홀씨대출의 전신인 희망홀씨대출 판매기간 중에는 저신용ㆍ저소득층 지원 비중이 43%에 달했다.
소득별로 보면 연간 소득액 2,000만원 이하 저소득층 대출액은 희망홀씨 때 전체의 80%에 달했지만 새희망홀씨로 바뀌면서 48%로 급감했고 저신용층 비중은 55%에서 36%로 감소했다.
은행별 저신용층 지원 비율은 기업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이 100%에서 각각 33%, 39%로 급감해 가장 하락폭이 컸다. 신한은행도 83%에서 36%로 축소하는 등 16개 은행 가운데 13개 은행이 저신용층 대출 비중을 낮췄다.
박 의원은 "은행 경영여건이 악화하는 상황에서 위험도가 높은 계층에 대한 대출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며 "은행들이 역마진을 감수한 상품이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한 새희망홀씨가 정작 저신용ㆍ저소득층을 외면한 점은 아쉽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새희망홀씨는 중위계층까지 대상이 확대돼 희망홀씨보다 저신용ㆍ저소득자의 비중이 줄었다"며 "올해 6월 말 현재 새희망홀씨 취급액 중 저신용ㆍ저소득자 비중은 74.7%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김민형기자 kmh204@sed.co.kr
[한국아이닷컴 인기기사]
- ☞ 결국… 한국서 극도로 우려하던 일 터졌다
- ☞ 알고보니 어마어마한 '성매매 실체' 파장
- ☞ 한국 남성들 이대로 가다간… 충격 결과
- ☞ 안철수 '이제부터 한국은…' 의미심장 발언
- ☞ 한꺼번에 4척을… 한국 조선 대박 터졌다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